월세, 전세, 매매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1) 월세는 소액의 보증금을 내고 매달 집주인에게 일정 금액을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2) 전세는 비교적 큰 금액을 보증금으로 내고 일정 기간 동안 거주 후 이사 나갈 때 보증금을 반환받는 방식입니다.
3) 매매는 이전 집주인에게 (새집이라면 분양사에게) 집값을 모두 지급하고 소유하는 것입니다.
자금 유연성, 생활 방식에 다르지만 각각의 장, 단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월세, 전세, 매매의 장점
1) 월세는 소액의 보증금으로 부담이 적고, 비교적 이동에 자유롭습니다. 목돈을 자유롭게 유용하기 좋습니다.
2) 전세는 매달 임대료 부담이 없고, 장기 거주에 유리합니다. 집을 매매했을 때 취득세,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등 각종 세금 부담에서 자유롭습니다.
3) 매매는 거주의 안정성이 높고, 본인의 소유이기 때문에 인테리어가 자유롭습니다. 또한 자산이기 때문에 집값이 올랐을 때 이익이 생길 수 있습니다.
월세, 전세, 매매의 단점
1) 월세는 매달 임대료가 지출되어 장기적으로 부담이 됩니다. 거주 시 인테리어를 자유롭게 하기 어렵습니다.
2) 전세는 큰 금액의 보증금을 내야 해서 자금 운용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큰 금액인 만큼 전세금 반환 때문에 이사 날짜를 맞춰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전세금 사기의 위험이 있습니다.
3) 매매는 집값과 세금 등으로 초기 비용이 높고, 이후에도 각종 세금 부담과 집값 변동의 리스크가 있습니다. 비교적 단기간에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고, 목돈이 묶여 있어 투자, 사업 등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월세, 전세, 매매의 차이점
월세, 전세, 매매 각각의 장, 단점을 알아봤습니다. 물론 자산이 많다면, 매매를 하고도 남은 자금을 굴릴 수 있으면 좋겠지만 보통은 보증금이 전 재산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금액을 어떻게 활용할지도 고민이 됩니다.
제가 봤던 부동산 책에는 전세 보증금을 빼서 다른 부동산에 투자 후 부자가 된 사람도 있지만, 투자는 리스크가 따르기 때문에 신중해야 합니다.
오랜 기간 월세 생활을 해본 결과, 신축 아파트를 비교적 낮은 금액으로 살아볼 수 있다는 것과 매번 새로운 환경에서 자유로웠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지금 생각했을 때 가장 좋은 방법은 월세로 살아보고 매매를 하는 것인데, 현실적으로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부동산을 관심 있게 지켜보면서 더 좋은 방법들을 찾아가야겠습니다.